Loading...

linux find, grep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find 명령어와 grep 명령어에 대해서 포스트 하겠습니다. find와 grep.. 둘다 무언가를 찾을 때 쓰는 명령어인데 두 명령어의 차이점은 find는 파하위폴더에 존재하는 '파일'을 찾는 명령어이고 grep은 하위폴더를 포함하여 존재하는 모든 파일에서 원하는 단어를 찾아주는 명령어 입니다. find- 파일 찾기find -... -ox(-exec) ... {} \;{} : 검색한 파일에 대해 명령어 실행하게 해줌 grep- 파일에서 패턴과 일치하는 내용 검색- 정규표현식grep ... file ... 위와 같이 정리할 수가 있는데 find먼저 자세히 살펴보면 검색할 수 있는 옵션이 크게 6가지가 있습니다. (1). 파일의 이름으로 검색-nameex) find /etc -name..

2016. 10. 3. 20:38

linux 백업

저번에 압축과 파일저장소에 대한 포스트를 했는데 이것들을 이용해서 백업하는 방법을 포스트 해보겠습니다. 백업에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전체 백업(full backup)- 백업대상이 되는 모든 파일들에 대해서 백업 증분 백업(incremental backup)- 이전에 전체백업한 내용과 비교해서 바뀐 부분만 백업 /etc 디렉터리에 대한 전체 백업을 먼저 진행해 보겠습니다. 백업을 위해 언제든 넣고 뺄 수 있는 마운트 디렉터리가 하나 필요하겠죠? 저는 sdb1 저장장치를 /mnt에 마운트 했습니다. 굳이 똑같은 디렉터리에다 하지 않아도 됩니다. 백업용 디렉터리를 새로 추가하셔도 되고요! tar cvfJ full_backup.tar -g backup.snap /etcfull_backup.tar 이라는 이름의 ..

2016. 10. 3. 20:06

linux 압축, 파일저장소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로 압축하는 법에 대해서 포스트 해보도록 하겠습니다.압축은 윈도우즈 알집과 같이 파일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용도로 쓰입니다. 리눅스 내에서 압축을 시켜주는 명령어는 3가지가 있습니다. gzip bzip2 xz gzip- 원본파일을 남기지 않는다.gzip bzip2 - 원본 파일을 보존할 수 있다. ( -k 옵션)bzip xz- 압축 커맨드중 효율이 제일 좋다. (용량 증감↑)xz 효율이 좋은 xz를 가지고 file1 파일을 만들어 압축을 해봤습니다. -k 옵션을 주니 원본파일이 삭제가 되지않고 보존된 걸 확인할 수 있네요. 압축해제는 -d 옵션을 주시면 됩니다. 이 3가지의 명령어 말고도 TAR Archive(TAR 저장소)라고 파일 아카이브라고 불리는 명령어가 하나 더 있는데...

2016. 10. 2. 18:54

linux 커널(kernel)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커널(kernel)에 대해 포스트 해보겠습니다. 커널은 처음 vmware 설치할 때 잠시 설명했었는는데요. 다시 한번 말씀드리면 모든 OS(운영체제)는 shell과 kernel, 그리고 device로 구성되어 있는데, 리눅스라는 운영체제 내에서 이루어지는 여러활동이나 프로세스 및 장치 메모리등등을 관리해주는 핵심적인 역할을 해주는게 바로 커널입니다. 처음 가상머신을 키고 들어갈때 보이는 이 화면이 커널을 선택하는 화면입니다. 위아래 두개의 커널이 있고 기본 커널 설정이 1번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위부터 1번) 첫번째 커널로 자동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죠. https://cdn.kernel.org 에 가시면 여러가지 커널및 최신커널을 무료배포 하는데 여기서 한번 커널을 설치해보겠습니다..

2016. 10. 2. 16:28

linux 패키지 설치(rpm,wget,yum)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에서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는 명령어에 대해서 포스트 하겠습니다.리눅스 내에서 기본으로 제공되지 않는 명령 및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싶을때 패키지를 설치하여 사용하곤 합니다.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는 명령어는 몇가지가 있습니다. 바로rpm wget yum명령어들이 그 주인공이죠. 위 명령어들은 모두 리눅스내에서 패키지를 다운받을 수 있지만 각각 차이점이 있습니다. rpm- 리눅스 Redhat 계열에서 사용되는 명령어- 확장자가 .rpm 이어야하며 이를 패키지라고 부름- 윈도우의 setup.exe 와 같은 유형- 미리컴파일된 프로그램을 배포 wget- 파일을 다운받는 명령어- 파일주소를 알면 하드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음 yum- 패키지 관리 프로그램- rpm 명령어의 개선용 명령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