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장치파일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저번 포스트 링크파일에 이어서 장치파일을 포스트 해보려고 합니다.


장치파일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니... 


입출력 장치와의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파일. 특수 파일이라고도 한다. 즉, 컴퓨터에 접속된 디스크행 인쇄기테이프 장치, 전신 타자기(TTY) 등의 입출력 장치에 접근하고 관리하는 채널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이다. 대부분의 장치 파일은 ‘/dev’ 디렉터리에 존재하며, 크게 파일 시스템들을 지원하는 장치를 위한 블록 타입과 그 외 다른 용도를 위한 문자 타입의 2가지가 있다.


라고 나와있네요. 출처는 네이버 지식백과 입니다.

뭐 쉽게 말하자면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게 장치파일 입니다 ...

리눅스에서는 DISK 를 추가하여 장치파일로 쓸 수 있는데 DISK에는 몇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IDE : /dev/hd

- SATA : /dev/sd

- SCSI


* 다음과 같은 DISK파일들은 알파벳으로 각각의 장치를 구분합니다.

ex) hda, hdb, hdc, ...


현재 가지고 있는 장치파일을 보는 명령어는 fdisk -l 입니다.

한번 지금 어떤 장치파일을 쓰고 있는지 한번 볼게요!



오.. /dev/sda1~3 장치파일을 기본으로 쓰고 있군요!

이제 여기에다가 새롭게 장치파일을 추가해주면 sdb, sdc 이런식으로 이름이 붙은 장치파일이 추가될 겁니다.


DISK 추가하는 과정 함께 해봅시다



1. 일단 poweroff 명령어로 가상머신을 종료하고 설정모드를 눌러주세요.




2. 오른쪽에 HARD Disk 란을 누르고 Add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3. Hard Disk 란을 누르고 NEXT를 클릭해 주세요.




4. 디스크 타입을 SCSI 로 설정후 다음으로 넘어가 주세요.




5. Create a new virtual disk 를 선택후 다음으로 넘어가 주세요.




6. 큰 용량은 필요없기 때문에 1GB 정도로만 설정해 주시고 single file 선택후 다음으로 넘어가 주세요.




7. 저는 파일이름을 DISK2 로 설정후 완료했습니다.




8. 설정이 완료됬으면 새롭게 생긴 하드디스크를 확인하시고 OK를 눌러주세요.




9. 가상머신을 다시 실행하고 fdisk -l 명령어로 보면 밑에 Disk /dev/sdb : 1073 MB 라고 새롭게 장치파일이 추가된 것을 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

※ 리눅스에서는 파일크기를 섹터단위로 구분하기 때문에 용량이 정확하지 않고 약간의 누실되는 용량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만 하면 장치파일을 바로 쓸 수 있으면 좋으려만... 아직 작업이 더 남았습니다.

바로바로 파일 시스템을 생성해 주어야죠!


파일 시스템의 종류는 운영체제 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제가 알고있는 것만 설명해 드릴게요!


- windows : NTFS, FAT16/32/64, exFAT, ...

- linux : ext2/3/4, xfs, vfs, ...

- unix : UFS

- Osx : HFS


저희는 linux를 사용하기 때문에 저기 목록중에서도 ext4를 사용해서 파일시스템을 추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일시스템 생성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mkfs  -t <파일 시스템 종류> <장치 경로>


ext4를 쓰려면 mkfs -t ext4 /dev/sdb 가 되겠죠?

-t 옵션 생략후 mkfs.ext4 <장치경로> 로 해도 됩니다.


한번 ext4를 이용한 파일시스템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mkfs 명령어를 이용해 파일시스템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3번째줄에 /dev/sdb ~, not just one partition ! Proceed anyway? 라고 나와있는 부분 보이시나욤?

무슨 뜻이냐면 하나의 파티션인데 진행하시겠습니까? 라는 뜻입니다.


장치파일은 파티션으로 용량을 나눠서 사용할 수가 있거든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트에서 다뤄보도록 할게요. 일단 y 라고 하고 넘어갔습니다.


쭈욱 파일시스템이 생성되는 정보들이 뜨고 마지막에 fils -s 명령어를 이용해 장치파일을 확인해보니 ext4 filesystem data... 라고 나온다면 파일시스템이 성공적으로 만들어진거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한가지 작업이 더 남았어요 ㅠㅠ

이제 장치파일을 만들었으니 파일과 연결해주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마운트(mount) 라고 합니다.


마운트 명령어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mount <장치 경로> <마운트 지점(마운트할 디렉터리 경로)>

ex) mount /dev/sdb /mnt


mnt 디렉터리에 sdb 장치파일을 마운트 해보겠습니다.



df -h 명령어를 이용하시면 마운트 확인을 하실 수 있습니다.

마지막 줄에 /mnt에 마운트되었고 사용가능한 사이즈는 976M.. 보이시나요?


이제 /mnt 디렉터리에 976M 용량만큼 원하시는 작업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반대로 장비를 해제 하는 방법은 umount 입니다.

사용방법은 umount <장치경로> or umount <디렉터리경로> 입니다.


장비를 해제하면 장비에서 사용한 파일들은 보이지 않겠죠..? 장치를 초기화하지 않는한 파일은 사라지지 않기 때문에 다시 마운트하면 파일들이 보이니 걱정하지 마세요~


이상으로 ..장치파일과 파일시스템 생성방법 마운트하는 방법 까지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이 장치파일을 파티션을 활용하는 방법을 포스트 하겠습니다.

반응형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파일의 권한  (0) 2016.09.27
linux 파티션(분할)  (0) 2016.09.27
linux 링크파일  (0) 2016.09.26
linux VI Editor  (0) 2016.09.26
linux 디렉터리 파일과 경로  (2) 2016.09.22
TAG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