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SAMBA
SAMBA
(smb)
- 이기종간의 공유가능
ex) 리눅스<-->윈도우즈
-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서만 사용이 가능
저번 포스트에서 리눅스간 통신하는 NFS에 대해서 포스트했었는데 오늘은 다른 운영체제끼리도 통신할 수 있게해주는 samba에 대해 포스트 해볼게요.
NFS와 마찬가지로 서비스를 제공받는 클라이언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설정이 필요하겠죠. 서버는 리눅스 클라이언트는 윈도우즈로 설정하겠습니다.
서버 설정
① 패키지 설치
yum install samba.x86_64
- samba-client.x86_64
- cifs-utils.x86_64
② 설정 파일
mkdir /share (서비스를 제공할 디렉터리)
/etc/samba/smb.conf
vi /etc/samba/smb.conf
위의 파일에 들어가 보면 엄청 내용이 많습니다. 저희가 필요한건 공유하게 해줄 수 있는 설정이기 때문에 필요없는 내용 및 주석은 모두 제거하고 진행할게요.
하기전에 혹시 모를 오류를 대비해 꼭 백업파일을 만들어놓고 진행하시는게 좋습니다!
cp /etc/samba/smb.conf /etc/samba/smb.conf.bak
백업파일도 만들어 놓았으니 이제 밑에 내용만 빼고 모두 지워주세요!
[global]
workgroup = WORKGROUP
security = user
#============================ Share Definitions ==============================
[public]
comment = Public Stuff
path = /share
public = yes
writable = yes
위에 내용 그대로 설정해 주시면 되는데 global 의 workgroup 은 윈도우즈 컴퓨터 속성->시스템의 작업그룹과 똑같아야 합니다.
③ samba 사용자 계정 생성
useradd samba
smbpasswd -a samba
④ samba 서비스 실행
systemctl start smb
⑤ samba 서비스 확인
ss -ant
( 포트번호 445가 보이면 제대로 실행되고 있음을 뜻함)
클라이언트 설정
① 공유 폴더 설정
윈도우즈 바탕화면에 public 이라는 이름의 폴더 생성
② 윈도우즈 폴더 설정
1. public 폴더 속성->공유->선택->공유(S)->everyone 추가
2. 폴더 속성->공유->고급공유->선택한폴더 공유 체크->사용자권한설정
③ 윈도우즈 ip 확인
- cmd 창 실행
ipconfig 명령어로 ip주소 확인
net share 명령어로 공유된 폴더 확인
위와 같이 public 폴더가 뜨면 성공적으로 공유 설정이 완료된겁니다!
④ 폴더 암호 설정
네트워크 속성->고급공유설정변경->홈 또는 회사->암호보호공유끄기->공용->암호보호공유끄기
이걸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모두 설정이 완료됬습니다.
마지막으로 리눅스로 다시 돌아와서 다음과 같이 마운트를 해줍니다.
mount -t cifs \\\\192.168.*.**\\public /share
윈도우즈의 public 폴더를 리눅스 /share에 마운트하는 과정입니다. 리눅스에서 경로 구분을 /로 한다면 윈도우즈는 \로 하기 때문에 저렇게 써주셔야 하고 \는 특수문자이기 때문에 두번써주셔야 하나로 인식이 됩니다.
위와 같이 마운트가 된다면 성공입니다!
이제 공유가된 폴더를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이상으로 SMABA 포스트를 마치겠습니다.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FTP PART 2 (0) | 2016.10.14 |
---|---|
linux FTP PART 1 (0) | 2016.10.13 |
linux NFS (0) | 2016.10.10 |
linux ACL (0) | 2016.10.10 |
linux LVM (0) | 2016.10.06 |